반응형

- 이번시간에는 평면 밖에 있는 점과 평면 사이 거리를 구해본다.
- 면 밖에 있는 점과 평면까지 최단거리는 어떻게 구할 수 있을까?

- 평면 밖에 한 점을 잡는다.
- 평면 위의 한 점을 잡는다.
- 평면위의 한 점부터 평면 밖의 점까지 벡터f를 구한다.

- 평면 밖 점에서 평면위로 수선의 발을 내린다.
- 수선의 발로 생긴 직선이 우리가 구해야 하는 높이 d가 된다.
- 그렇다면 이 d, 어떻게 구할 수 잇을까?

- 바로 삼각함수를 통해 구할 수 있다
- 벡터 f와 높이 d가 이루는 각을 기준으로 삼각함수 중 cos을 이용하면 h를 구할 수 있게 된다.
- ||→f||cosθ=d로 식을 정리할 수 있다.
- θ는 어떻게 구할 수 있을까?

- 바로 법선벡터와 벡터 f로 구할 수 있다
- 법선 벡터도 면에 수직인 벡터이기 때문
- 이 때 법선벡터의 크기를 앞서 구한 식 ||→f||cosθ=d의 좌변에 곱하고 나눠줘 ||→n||||→f||cosθ||→n||=d가 된다.
- 여기서 분모는 벡터 n과 f의 내적값이 된다.
- 식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이 된다
→n⋅→f||→n||=d

- 벡터 n과 f의 내적과 벡터n의 길이를 각 벡터의 원소로 표현하면 Ax0−Axp+By0−Byp+Cz0−Czp√A2+B2+C2=0이 된다.

- 식 Ax0−Axp+By0−Byp+Cz0−Czp√A2+B2+C2=0와 면의 방정식 Ax+By+Cz=Axp+Byp+czp(=D)와 비교하여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
Ax0+By0+Cz0−D√A2+B2+C2
본 포스팅은 칸아카데미의 선형대수학을 기반으로 작성하였습니다.
Vectors and spaces | Linear algebra | Math | Khan Academy
Let's get our feet wet by thinking in terms of vectors and spaces.
www.khanacademy.org
반응형